반응형

신용카드 식별 번호(BIN, Bank Identification Number)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번호는 XXXX-XXXX-XXXX-XXXX 형식으로 4자리씩 총 16자리로 구성된다. 아멕스 신용카드 처럼 일부 카드는 15자리도 있지만 대부분은 16자리이다.
이 중에서 앞자리 6개는 국제식별번호이며 BIN (Bank Identification Number) 이라고 부른다.

이 6자리 숫자에 카드 브랜드, 카드의 종류(법인카드/개인카드, 체크카드/신용카드/직불카드/선불카드/기프트카드), 카드등급(플래티늄, 골드, 우량, 일반), 발행금융사와 발행 국가에 대한 정보가 모두 들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맨 앞자리 4개는 브랜드이고 뒤에 2개는 금융기관 코드이다.

앞의 6자리 외에 그 뒷부분의 숫자는 각 금융기관들이 사용하는 내부코드이고, 맨 마지막은 검증숫자이다.

따라서, 동일한 카드, 같은 브랜드, 같은 등급, 같은 종류의 카드를 발급받은 사람은 앞자리 6개는 똑같다. 예를 들면, 요즘 인기있는 카카오뱅크 체크카드는 마스터카드 브랜드일 경우 5365 10 으로 시작하고, 국내전용 카드이면 9490 99  로  누구나 6자리 번호가 똑같게 된다. (일반 신용카드는 Platinum, Gold, Silver 등급이 더 세분화되서 번호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카뱅은 단순 등급 밖에 없다)

전세계 워낙 많은 신용카드사가 있어 숫자가 충돌될 수도 있기에 해외 승인이 가능한 Visa, Master 카드 같은 것은 세계공통 BIN 번호 규칙성을 갖는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는 카드를 기준으로 BIN번호 대충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356X : JCB카드
* 36XX : 다이너스카드 (Diners Club International)
* 37XX : 아멕스(아메리칸 익스프레스, American Express)
* 4XXX : 비자카드 (Visa)
* 51XX ~ 55XX : 마스터카드 (Master) 
                            (5천대 외에 2221 ~ 2720 신규 대역을 17년도부터 추가 예정)
* 62XX : UnionPay 중국은련카드 (CUP, China UnionPay)
* 65XX : BC카드 글로벌 (BC Global)
* 9XXX : 각 국가별 국내 전용카드 (Local 카드)
    9035 xx : 제주은행
    9100 xx, 9200 xx, 9300 xx : BC카드
    9407 xx : 수협카드
    9409 xx : 롯데카드
    9410 xx : 신한카드, BC카드, 삼성카드, KB카드, 하나카드 ....  뒤죽박죽...
    9490 xx : 현대카드, 전북은행, KB카드, ...  뒤죽박죽 ...



제일 많이 쓰는 비자(Visa) 브랜드 제휴카드의 경우 4로 시작하고, 마스터(Master) 제휴카드는 51~55로 시작하고, 만약 연회비가 비싸서 그냥 국내카드로 신청하면 9로 시작하는 국내카드용 번호가 부여되는 식이다.
9천번대 국내전용 카드는 옛날에는 기관코드 규칙성이 있어서 어느 회사 카드인지 대충 알아볼 수 있었으나, IMF이후 수많은 카드사와 은행이 합병, 분할, 재분사 등을 하다보니 이제는 엉망진창이 되어 규칙성이 거의 사라져서 뒤죽박죽이 되버렸다.

국내 신용카드사 전체의 6자리 BIN 넘버를 알고 싶으면, VAN사 자료실에서 찾아보면 된다.

1) KICC 한국정보통신
    https://www.kicc.co.kr/kr/support/pds/van/pds_van_list.jsp?s_menu=4&t_menu=1
2) KSNET
    https://www.ksnet.co.kr/Bbs?ci=NOTICE&c=NOTICE&fi=&fw=&f=ALL&q=BIN


BIN 번호를 활용하는 사례는,
통신사 요금 신용카드로 자동이체 신청할 때, 쇼핑몰에서 결제할 때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어느 순간 자동으로 무슨 카드인지 보여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 6자리 BIN번호를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다.

KTX 철도 예약이나 역 창구 현장에서 결제할 때 무슨 체크카드는 되는데 무슨 체크카드는 안되고 이런 것은 카드결제하는 순간 이 6자리 BIN을 검사해서 그 회사의 카드는 승인거절 하는 것이다. 현재 롯데카드 체크카드와 시티카드 체크카드는 무슨 이유인지 몰라도 대부분 결제가 안된다.

해외 브랜드 공홈에서 직구할 때도 한국에서 구매를 못하게 막아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보통은 배송지 주소와 신용카드 청구지주소(Billing Address)가 일치하는지 검사하거나, 유명한 배대지 주소를 막는 경우가 많지만, BIN 번호를 검사해서 이게 한국에서 발급한 신용카드이면 승인을 막아버리는 경우도 있다.

해외에서 발급받은 카드로 국내에서 이용하려고 하면 역시 BIN번호 검사해서 승인 거절하는 곳도 많다. 이것은 외국인이 결제한 내역을 승인취소하고 환불하고 하는 과정이 매우 귀찮고, 또 만약 위조된 가짜 신용카드를 가지고 사기치면 이를 적발해서 신고하고, 환급하고 하는 과정이 거의 불가능이기 때문에 귀찮아서 아예 승인자체를 막아놓는 것이다.


카드 번호 검증코드 (Check Digit)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카드번호의 맨 마지막 숫자는 카드번호의 검증코드이다.
카드번호 총 16자리 숫자에서(아멕스카드는 15자리) 검증번호 체계는 다음처럼 계산한다.

 1) 마지막 검증코드숫자를 제외하고 그 앞 숫자부터 거꾸로 가면서 2를 곱하고, 그다음은 1을 곱하고, 다시 2와 1 곱하기를
     번갈아 나열해서 곱한다.
2) 곱셈한 결과가 10을 넘을 경우 다시 숫자끼리 더한다.
    - 예를 들어 7*2 = 14 일 경우 다시 1+4 = 5 로 치환한다.
3) 모든 숫자의 계산 결과를 모두 더한다.
4) 합계 숫자의 끝자리 수를 10에서 빼면 검증코드 숫자이다.  끝자리 수가 0인 경우 그냥 0이다.
    - 예를 들어 합계 숫자가 62이면, 끝자리는 2이고, 검증코드는 10-2= 8이 된다.  합계숫자가 50이면 검증코드는 0이다.

카드번호가 4579-7300-7124-7055  인 경우 계산해보자.
맨끝의 검증숫자 바로 앞의 숫자부터 2, 1, 2, 1 ...  을 곱해주고 위 설명대로 계산해보면,

마지막 4번째 계산된 결과를 모두 합하면 합계는 55이다.
55에서 일자리 끝숫자는 5 이고,  10에서 5를 빼면 5가 된다.  카드번호 제일 끝자리 검증코드 5와 같으므로 유효한 카드번호이다.
(또는 다르게 풀면, 계산된 합계 55와 마지막 검증숫자 5을 합친 숫자는 반드시 10의 배수여야 한다.)

이 검증규칙을 이용해서 카드번호를 엉터리로 집어넣으면 카드번호가 틀렸다고 나오면서 다시 입력하라고 나오게 된다.


보안코드 (card security code)

한편, 위 검증코드는 단순히 신용카드 번호 입력할 때 틀렸는지 숫자의 유효성만 검사하는 것이고,
상점에서의 직접 거래가 아닌 비대면 거래, 즉, 카드번호만으로 온라인 결제하는 경우 보안강화를 위해서 카드 보안코드 3자리가 있다.
회사마다 호칭이 다른데 비자카드는 CVV, 마스타/JCB는 CVC, 아멕스는 CID라고 부른다.
카드 뒷면을 보면 서명하는 곳에 작은 글씨로 숫자 3자리가 써있는 그것이다.

특이하게, 아멕스 카드는 뒷면이 아니라 앞면에 4자리의 카드보안코드가 있는데, 만약 순수 아멕스 카드가 아니라 국내 카드사의 제휴된 아멕스카드일 경우 국내 보안프로그램인 일반결제(안심클릭)나 ISP 등록을 위해서 앞면 4자리 숫자말고 뒷면에도 국내용 CID 3자리가 또 있다.
보통 아마존 같은 해외 직구할 때나 국내 쇼핑몰에서 안심클릭 입력할 때 어느 숫자를 넣으라고 알려주니 헷갈리지 말고 입력하면 된다.

보안코드의 검증 규칙은 카드사 내부 기밀이라서 알 수 없다.


* 기타 자료

* 전세계 BIN 번호체계를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위키에서 보시길 ... (영문사이트)
https://en.wikipedia.org/wiki/Payment_card_number

Payment card number - Wikipedia

Contents 1 Structure 2 Issuer identification number (IIN) 2.1 Canadian bank card numbering 3 Security measures 4 References 5 External links Structure [ edit ] The leading six digits of the card number is the " issuer identification number (IIN)",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bank id

en.wikipedia.org

* 아래 주소에 가서 신용카드 앞자리 6개만 입력해보면, 발생 회사와 등급 등을 간단하게 볼 수 있다.
외국 사이트라서 간혹 잘못된 정보가 나오기도 하니 단순히 재미삼아 해보기 바랍니다.
https://binlist.net/

 

출처 : https://m.blog.naver.com/mumasa/221121389505

반응형

'Web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및 브라우저별 userAgent값]  (1) 2020.04.06
Token, JWT, OAuth  (0) 2020.03.29
반응형

일단 팝업 검색창을 띄울 레이어를 생성합니다.
간단하게 div 태그로 구역을 지정하고, style 을 설정하였습니다.

<div id="SearchLayer" style="position:absolute;z-index:999;display:none; width:100%; height:90%;
background: none rgba(0, 0, 0, 0.9);
filter: 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Gradient(startColorstr='#80000000', endColorstr='#80000000');
" align='center'>
<table valign="middle" height=100%><tr><td >
<input type='text'><input type='submit'><br>
...
<br><br>
<font size='3' color='white' onclick='CloseSearch()'>Close</font>
</td></tr></table>
</div>

블로그에 적용하기 전에 테스트 코드로 짜서 테스트하느라, 실제 적용된거랑은 약간 차이가 있겠지요.
여기서 처음 접속시에는 보이지 않게하기 위해서 display:none; 을 지정하였습니다.

그다음 매번 클릭 시 나타났다, 없어졌다를 반복하기 위해서 해당 div를 제어하는 js를 작성합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ViewSearch(){
        document.getElementById("SearchLayer").style.display='inline'
    }
function CloseSearch(){
        document.getElementById("SearchLayer").style.display='none'
    }
</script>

getElementById로 div 의 id를 찾은 후 style로 노출 유무를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방금 만든 ViewSearch() 함수와 CloseSearch() 함수를 실행하는 부분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테스트할때는 그냥 a 태그로 했었고, 실제 적용에는 메뉴바에서 해당 함수를 호출하도록 해놨습니다.

<a href="javascript:ViewSearch();">HAHWUL_TEST</a>

실제 이런식으로 적용이 되었지요.



테스트 진행하며 만들었던 html 전체 코드입니다.

 

<html>
<head>
<title></title>
</head>
<body>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ViewSearch(){
        document.getElementById("SearchLayer").style.display='inline'
    }
function CloseSearch(){
        document.getElementById("SearchLayer").style.display='none'
    }
</script>

<div id="SearchLayer" style="position:absolute;z-index:999;display:none; width:100%; height:90%;
background: none rgba(0, 0, 0, 0.9);
filter: 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Gradient(startColorstr='#80000000', endColorstr='#80000000');
" align='center'>
<table valign="middle" height=100%><tr><td >
<input type='text'><input type='submit'><br>
...
<br><br>
<font size='3' color='white' onclick='CloseSearch()'>Close</font>
</td></tr></table>
</div>
<a href="javascript:ViewSearch();">HAHWUL_TEST</a>
</body>
</html>

출처 : https://www.hahwul.com/2015/12/coding-htmljavascript-code-for-popup.html

반응형
반응형

0. 사전에 준비해야 할것

0-1. 사용하고자하는 이메일에서 smtp가 가능한지 확인

0-2. 만약 가능하다면 smtp의 주소와 포트 번호를 확인한다.

 

1. NuGet 에서 MimeKit 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2. MailSender.cs 를 원하는 폴더에 구현합니다.

using MimeKit;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Text; 

namespace Project.Common
{
    public class MailSender
    {
    	// toMail: 보내고자하는 이메일주소
        // title: 보내고자하는 이메일의 제목
        // mailContent : 보내고자하는 이메일의 내용(HTML 태그형식의 string 값)
        public void Send(string toMail, string title, string mailContent ) {
            if (toMail.IndexOf("@") > -1)
            {
                string id = (toMail.Split('@')[0]).ToString();
                using (var client = new MailKit.Net.Smtp.SmtpClient())
                {
                	// 사용하고자하는 email의 smtps 주소, 포트를 입력합니다.
                    client.Connect("smtps.SMTPS_ADDRESS.com", SMTPS_PORT, true);
                    // 당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client.Authenticate("YOUR_ID", "YOUR_PASSWORD");

                    var message = new MimeMessage();
					//받는사람이 보는
                    // 보내는 사람의 대표이름과 보내는 사람 이메일을 설정합니다.
                    message.From.Add(new MailboxAddress("EMAIL_TITLE", "EMAIL_FROM"));
                    message.To.Add(new MailboxAddress(id, toMail));

                    message.Subject = title;

                    var builder = new BodyBuilder();

                    builder.HtmlBody = mailContent;                    

                    message.Body = builder.ToMessageBody();
                    client.Send(message);
                    client.Disconnect(true);

                }
            }
        }
    }
}

어디서든지 Send를 통해 보내면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Vuejs 로 작업중일때 router를 통해 화면을 다른 vue로 바꾸면서 Get/Post로 데이터를  보내고 싶을때가 있다.

이럴때 사용하면된다.

 

Send.vue ===> Receive.vue 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router.js

import Vue from "vue";
import VueRouter from "vue-router";

//vue router
Vue.use(VueRouter);

const routes = [
  { path: "/Send", component: require("./pages/Send.vue").default },
  { path: "/Receive", component: require("./pages/Receive.vue").default, name:"ReceiveTest" }
];

const router = new VueRouter({
  mode: "history", //removes # (hashtag) from url
  base: "/",
  fallback: true, //router should fallback to hash (#) mode when the browser does not support history.pushState
  routes, // short for `routes: routes`
});

export default router;

Pos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꼭 router에 name 값을 지정해줘야한다. 이유는 하단에.

 

Send.vue 의 script단

=> 데이터를 보내는 vue

//router.vue의 경로로 설정해주세요.
import router from "../../router";

export default {

//methods 부분만 기입하겠습니다. 필요한 곳에 click이든 event로든 사용하시면됩니다.
  methods: {
      GetTest(item) {
      //라우터에서 지정한 path 값
        router.push({ path: "/Receive", query: { id: "Get 확인" } });
      },
      PostTest(item) {
      //라우터에서 지정해준 name 값
        router.push({ name: "ReceiveTest", params: { id: "Post 확인" } });
      }
    }
}

 

Receive.vue 의 script단

==> 데이터를 받는 vue

export default {
  name: "Receive",
  data() {
    return {
    //Get으로 받았을 경우
     id: this.$route.query.id,
    //Post로 받았을 경우
     id: this.$route.params.id,
    };
  },
  created() {
  	//Get으로 받았을 경우
     console.log(this.$route.query.id);
    //Post로 받았을 경우
     console.log(this.$route.params.id);
  },
};

 

created 에서 받아 axios등으로 데이터를 불러와 세팅을해도되고

data 에 담아 필요한곳에 사용하면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